top of page
Search

Arts in Mission이 추구하는 아름다움(시편 27:4) | The Beauty Sought in Arts in Mission: A Reflection on Psalm 27:4

  • Writer: Boyoung Seong
    Boyoung Seong
  • 1 day ago
  • 7 min read

Arts in Mission이 추구하는 아름다움(시편 27:4)


최근 손봉호 교수님께서 쓴 아티클 중 '진리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기독교 문화예술의 순기능에 대한 언급이 있어 반가웠다. 진리를 영광스럽게 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고찰이었다.

 

ree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미학에서 '아름다움의 추구'는 인간의 본성과 연결이 된다. '완전하고 변함없는 아름다움 그 자체'가 존재하고 이는 인간의 동경이 향하는 곳(idea)이며, 인간의 미적추구는 그 아름다움 자체를 '다시 기억해 나는 과정(anamnesis)'으로 여기는 것이다.

 

성경적으로는 어떠한가? 혹자는 하나님을 ‘예술가’로 표현할 만큼 성경에도 아름다움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대표적인 성경구절로 시편 27:4절을 살펴보자.


내가 여호와께 바라는 한 가지 일 그것을 구하리니 곧 내가 내 평생에 여호와의 집에 살면서 여호와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그의 성전에서 사모하는 그것이라 (개역한글)

One thing have I asked of the LORD, that will I seek after: that I may dwell in the house of the LORD all the days of my life, to gaze upon the beauty of the LORD and to inquire in his temple. (ESV)

 

시편 27:4의 '아름다움'은 히브리어 בְּנֹעַ֙ם(bə·nō·‘am)을 사용되었다. 이는 합성어로 전치사 בְּ (bə)(in~, with~, by~ 등으로 번역)와 명사  נֹעַם (no‘am)( beauty, joy)가 결합된 형태이다.

시편의 기자는 ‘여호와의 아름다움을 바라본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여기서 '바라보며' 는 히브리어  לַחֲזוֹת (lachazot)이고, 이 역시 전치사 לְ (lə)(to, for, in order to, ~을 하기위해)와 동사 חָזָה (chazah)(주목하다, 응시하다, (환상, 계시를) 예언적으로 보다)의 합성어다.

 

아름다움의 추구에 대한 성경적 의미는 철학적 그것과는 차이가 있다. 아름다움 자체에 대한 깊은 동경과 관찰이 철학적 추구라고 한다면, 성경적인 관점은 특별히 '관계적(relational, connection-oriented)'이다. 철학적 미학은 이성과 심미안이 포착하는 보편적 형상의 아름다움을 찾아가지만, 성경은 피조물이 창조자와 인격적 관계를 누리는 가운데 얻어지는 경험을 아름다움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아름다움’의 히브리 단어 ֹעַם (no‘am)은 다른 성경구절에서 '은총'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하나님께서 그와 인격적 '관계'를 맺은 피조물에게 자신의 손길을 뻗어 그의 삶 속에 하나님의 존재를 드러내는 ‘관계적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Arts in Mission이 추구하는 아름다움 역시 성경적 맥락을 따른다. 미를 추구하고 오감을 자극하는 매력의 차원을 넘어 하나님과 깊은 관계에서 발견되는 아름다움을 세상 속에 드러나도록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Arts in Mission의 표현은 ‘본질상 예배적 성향(by nature, inherently worship-oriented)’으로 드러난다.


ree

 

시편 27:4에서도 “성전에서”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는 단순한 장소 개념으로 볼 것이 아니라 ‘아름다움을 바라봄’이 예배적 의미를 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성전은 하나님의 임재가 있고, 만남이 있는 거룩한 자리이다. ‘성전에서 여호와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것’은 하나님의 깊은 임재와 영적 만남 속에 그 ‘아름다움’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rts in Mission의 예술가가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추구함에는 분야를 막론하고 재능의 탁월함을 앞서는 필요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예배자인가?’, '성전에 서서 하나님의 임재와 만남, 은혜와 영광을 경험한 자인가?' 하는 조건이다. 하나님과 관계 없이 표현되는 아름다움은 아무리 종교적인 것이라 해도 결코 우리가 추구하는 것이 아니며, 하나님과의 관계로 부터 시작된 표현은 종교적인 색채가 전혀 드러나지 않아도 우리가 추구하는 아름다움 바로 그것이다.

 

지금까지 기독교 문화예술의 초점은 세상과 상대하기 위해 실력을 쌓는 데 맞추어져 있었다. 의미없다 말할 수 없기에 직접적인 평가는 유보하려 한다. 그러나 한가지는 지적하고 싶다.


지난 수년간(decade) 시편 33:3절 "새 노래로 그를 노래하며 즐거운 소리로 아름답게(공교히, skillfully) 연주할지어다"라는 본문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다. 이 본문은 우리가 추구해야할 아름다움에 대한 많은 오해를 양산했고, 그 결과는 매우 우려스럽다. (불행히도 오늘날 예배사역은 한계치에 이른 음악을 겨루는 실력 경쟁 구도 속에 빠져있다. 모두라고 단정하긴 어렵지만 대부분이 출구(exit) 없는 예배사역에 갇혀 맴돌고 있다는 점은 부정하기 어렵다.)


시편 33:3절의 ‘공교히’가 개역개정 번역에서 ‘아름답게’로 번역이 바뀐 것을 보았다. 여기 사용된 히브리 단어는 הֵיטִיבוּ (heitivu)이고, 영어번역은 skillfully라고 되어있다. 앞서 살펴본 시편 24:7의 נֹעַם (no‘am)( beauty, joy)과는 다른 단어이지만 이 역시 예배를 섬기는 자의 ‘기술적으로 완성도’를 뜻하는 단어라고 일차원 적으로만 바라볼 것은 아니다.

이 단어는 오히려 예배자들의 마음 속을 살피는 의미로 하나님 앞에 합당한 도덕적 영적 태도가 갖추어 졌는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이고, 그렇기에 당시 문화 속에서 이 본문을 접한 사람들은 하나님을 섬김에 있어 마땅히 준비되어야 할 합당한 선함과 태도에 대해 생각했을 것이다. (선함은 美로 인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젠가부터 이 말씀은 우리에게 너무 단순하게 적용되었고 실력을 쌓아야한다는 명분으로 이용되어왔다. (공교히: 세밀하며 완성도 있게_라는 식으로). 이러한 적용은 지금이라도 반성하고 환기할 필요가 있다. ‘공교함’을 '실력'으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의 합당한 마음과 태도를 갖춘 ‘아름다움’ 즉 '태도'로 살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성경이 말하는 아름다움(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아름다움)은, 인간이 스스로 쌓아올린 심미적 기교나 기술의 정점을 말하지 않는다. 절대적인 미의 추구나 완전한 것에 대한 회상도 아니다. 기독교 문화예술 안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아름다움은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교제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성전에서 주를 바라보는 것, 임재와 은총이 우리 영혼과 삶에 충만해 지고 흘러나오는 것, 하나님과의 관계로부터 시작된 아름다움을 드러내고, 회복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 되어야 한다.

ree

그렇기에 Arts in Mission의 예술은 반드시 최고가 아니어도 좋다. 다만 하나님과 깊이 만나는 '친밀함'이 묻어나면 좋겠다. 그것이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심히 좋은 (טוֹב (ṭôḇ) (very good) 아름다움이다. 하나님으로 부터 시작된 음악, 미술, 무대, 글. 이것들이 필요하다. 확신하건데 세상은 이로인해 놀랄 것이고, 기뻐할 것이고, 그 안에서 진정한 아름다움을 반드시 발견할 것이다. 



Aug 14, 2025. 함께 걷는 기쁨

성보영 목사


---


*Translated into English by ChatGPT

The Beauty Sought in Arts in Mission (Psalm 27:4)


Recently, I was delighted to read an article by Professor Bong-Ho Son that spoke of the positive role of Christian arts in “revealing the beauty of truth.” It was a thoughtful reflection on beauty that glorifies the truth.


In classical aesthetics, from Plato to Aristotle, the “pursuit of beauty” is deeply connected to human nature. There exists “beauty itself”—perfect and unchanging—toward which human longing is directed (the idea). The human pursuit of beauty, in this view, is a process of “remembering” (anamnesis) that beauty.


But what does Scripture say? So abundant is the biblical testimony about beauty that some have even called God an “artist.” One well-known example is Psalm 27:4:

One thing have I asked of the LORD, that will I seek after:that I may dwell in the house of the LORD all the days of my life,to gaze upon the beauty of the LORD and to inquire in his temple. (ESV)

The word “beauty” in Psalm 27:4 is the Hebrew בְּנֹעַ֙ם (bə·nō·‘am), a compound of the preposition בְּ (, “in,” “with,” “by,” etc.) and the noun נֹעַם (no‘am, “beauty,” “joy”). The psalmist says “to gaze upon the beauty of the LORD.” The phrase “to gaze” is the Hebrew לַחֲזוֹת (lachazot), combining the preposition לְ (, “to,” “for,” “in order to”) and the verb חָזָה (chazah, “to look attentively,” “to see,” or “to perceive prophetically”).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beauty differs from the philosophical one. While philosophy often defines the pursuit of beauty as a deep longing and contemplation of beauty itself, the biblical perspective is distinctly relational—it is rooted in connection. Philosophical aesthetics seeks universal forms of beauty discerned by reason and taste, but Scripture speaks of beauty as something experienced in a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ure and the Creator.


This is why the Hebrew no‘am is sometimes translated “favor” in other passages. It refers to a relational act in which God extends His hand to those with whom He is in covenant relationship, making His presence known in their lives.


The beauty pursued in Arts in Mission follows this biblical pattern. It goes beyond the pursuit of sensory appeal or artistic charm; it is about expressing the beauty found in deep relationship with God so that it may be revealed in the world. And such expression in Arts in Mission is, by nature, inherently worship-oriented.


Psalm 27:4 also mentions “in His temple.” This is not merely a spatial reference—it shows that “gazing upon the beauty of the LORD” carries a worshipful meaning. The temple is where God’s presence dwells and where divine encounters take place. To behold the LORD’s beauty in the temple is to encounter it within the depths of His presence and spiritual communion.


Therefore, for an artist in Arts in Mission, the pursuit of God’s beauty requires a prerequisite beyond excellence in talent, regardless of the field. The question is: “Are you a worshiper?”—“Have you stood in the temple, experiencing God’s presence, His grace, and His glory?” Beauty expressed apart from relationship with God, no matter how religious it may appear, is not the beauty we seek. Conversely, beauty that flows from relationship with God—though it may show no overt religious coloring—is precisely the beauty we pursue.

Until now, Christian arts have largely focused on building skill in order to stand on par with the world. This is not meaningless, so I withhold outright criticism. But I must point out one thing.


For decades, Psalm 33:3—“Sing to him a new song; play skillfully, and shout for joy”—has often been misinterpreted. This misreading has fueled significant misunderstandings about the beauty we ought to pursue, leading to troubling consequences. Sadly, much of today’s worship ministry is caught in a competitive cycle of musical performance at its technical limits. While not universal, many remain trapped in a ministry model with no apparent way out.


The Hebrew word translated “skillfully” in Psalm 33:3 is הֵיטִיבוּ (heitivu), rendered “skillfully” in English. Though different from no‘am in Psalm 27:4, it should not be viewed merely as a reference to technical perfection. The word carries a moral and spiritual nuance—calling worshipers to examine whether they are offering God what is right in heart and character. In ancient cultural context, hearers of this verse would have understood it as a call to prepare themselves with moral goodness and proper attitude in serving God. (Goodness was perceived as beauty.)


Yet, over time, this verse has been simplified and used primarily as justification for technical skill-building (“meticulously” or “with excellence”). Such an application needs correction. “Skillfulness” should be understood as beauty of attitude—a heart rightly aligned before God—not simply as artistic mastery.


The beauty God desires, as described in Scripture, is not the pinnacle of human artistry or technical brilliance, nor is it a nostalgic pursuit of ideal forms. The beauty we must seek in Christian arts begins in personal communion with God—beholding Him in His temple, being filled with His presence and grace, and letting that overflow into the world. It is the beauty that flows from relationship and restores others to it.


For this reason, the arts in Arts in Mission need not always be the “best” by worldly standards. What matters most is that they carry the intimacy of one who has met God deeply. That is the tov—the “very good” beauty—that God sees as truly good. We need music, art, stagecraft, and writing that begin with God. I am convinced that the world will be astonished, rejoice, and ultimately discover true beauty in them.


Aug 14, 2025 — The Joy of Walking Together

Rev. Boyoung Chris Seong

 
 
 

Comments


  • Instagram
  • Facebook
  • YouTube

+1 (617) 678-5104

©2023 by Deep and Wide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at Deep and Wide Foundation.

Please note that all photos and content posted on our website are the property of Deep and Wide and may not be used without permission.

bottom of page